목록컴퓨터공학/데이터 통신 (11)
cyphen156

세션 계층 세션 연결 동기 : 통신 양단에서 서로 동의하는 논리적인 동기점을 지정, 오류 복구를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됨 -> 서로 처리가 완료되었음을 합의, 오류 발생시 효과적인 복구 가능 동기점의 부여 : 큰 파일을 작은 파일로 구분하는 과정 -> 전송과정의 중간중간에 동기점 부여 -> 해당 내용까지는 전송이 완료됨을 의미 재동기 : 동기점을 이용한 일련의 복구 과정 주동기 토큰 : 특정 대화 단위를 구분, 완벽히 처리됨을 의미 -> 이전의 과정은 복구 필요 x 부동기 토큰 : 대화 단계를 세분화 시켜서 구분, 복구 백업 정보가 상대적으로 적음 -> 오류 복구가 완전하지 않을 수 있다. -> 이전 부동기점으로 이동하면서 복구를 시도 액티비티 : 세션 프로세스 사이의 논리적으로 설정되는 단위, 상호독립적..

UDP(데이터 그램) - 비연결형, Best Effort 전송 방식, 구조가 아주 간단 흐름제어기능, 순서 번호 기능이 없다 -> 데이터그램 분실 오류, 순서 변경 오류 발생 가능 RTP -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지원, Unicast + Multycast UDP 위에서 구현, 송수신 프로세스간의 연결 관리 기능별로 개별적으로 구현됨 다수의 사용자가 하나의 세션에 참여 타임스태프 방식 - 불규칙한 데이터의 순서를 정렬 ALF 방식으로 알고리즘에 따라 버퍼 크기 개별조정 가능 중요도 : 오류복구기능 < 도착순서, 지터, 데이터 압축 버퍼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의 시간간격을 일정하게 보정 지터 분포 : 데이터그램의 도착 시간의 불규칙 정도를 측정한 것 RTP 릴레이 Mixer : 데이터그램 스트림을 ..

웹 서비스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 웹 서버, 프로토콜, 연결하는 서버의 호스트 이름, 서버 내부의 파일 경로명으로 표현ex) http://www.korea.co.kr/welcome.html 유닉스/리눅스 시스템 : 로그인 이름, 홈디렉토리 ex) http://www.korea.co.kr/~hong, /public_html/index.html APM : Apache(웹 서버 프로그램), PHP(HTML언어의 기능을 보완, 문서 내부에 코드를 추가하는 형식), MySQL PHP코드 처리 HTML 문서 내용의 일부로 작성됨, 구분자로 사용 -> .php로 확장자 변경 출력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 웹 문서 작성언어 ..

IPv6 주소의 확장, 축약표시 가능(X:X:X:X:X:X:d.d.d.d) 32bit -> 128bit, 10진수 체계 -> 16진수 체계 헤더 구조 단순화 총 40 Byte = 32Byte는 주소 공간으로 할당, 8Byte는 프로토콜 공간으로 할당 확장 헤더 Hop by Hop Options Header : HBH옵션 처리를 지원 Jumbo 페이 로드/라우터 긴급 옵션 Routing Header : IPv4의 소스 라우팅과 유사, 패킷이 라우팅 헤더에 지정된 특정 노드를 경유하여 전송됨 Fragment Header : 패킷 분할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 Destination Options Header : 수신 호스트가 확인할 수 있는 옵션 정보 Authentication Header : 패킷 인증 관련 기..

네트워크 계층 연결형 서비스(TCP) 비 연결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음 비연결형 서비스(UDP, IP) 패킷의 도착 순서가 일정하지 않음 -> 상위 계층에서 순서 재조정 필요 패킷이 분실될 가능성 존재 -> 오류 복구 필요 라우팅 - 패킷의 전송 경로를 지정 공평 원칙 : 다른 패킷의 우선 처리를 위해 다른 패킷이 손해를 보면 안됨 효율 원칙 : 전체 네트워크의 효율성에 대해 고려해야 함 정적 라우팅 : 패킷 전송 전 경로 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중개, 경로 정보 갱신 , 네트워크의 변화/혼잡 대처 어려움 동적 라우팅 : 경로 정보가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유동적, 잦은 경로 정보 수집과 관리로 인한 성능 저하 HELLO 패킷 : 주변 라우터에 패킷을 보내 주변 경로 정보를 파악 ECHO 패킷 : ..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 두 호스트가 통신하려면 점대점(1:1) 방식으로 연결 필요 점대점 연결(1:1) : 주소 불필요 멀티드롭 연결(1:多) : 주소 필요 프레임 종류 정보프레임(I) : 상위 계층이 전송을 요구한 데이터를 수신 호스트에 전송/순서번호 , 송수신 호스트 정보 등을 포함 긍정 응답 프레임(ACK) : 데이터가 올바르게 도착했음을 회신하는 용도 부정 응답 프레임(NAK) : 전송 중 프레임 변형 오류가 발생했음을 회신하는 용도 오류, 흐름 제어가 없는 프로토콜? 단방향 통신 송신 -> 수신으로만 데이터를 전달 --> ACK와 NAK를 통해 전송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물리 매체 --> 불가능!! ---->> 오류, 흐름 제어 수신 버퍼가 무한 개 --> 슬라이딩 윈도우 프로토콜 양방향 통..

MAC계층 - LAN환경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을 LLC와 MAC로 분리 LLC :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본 기능 MAC : 데이터 링크 계층에 존재하지만 물리 계층 기능을 지원 (SWITCH사용) IEEE 802 시리즈 = LAN의 표준안 IEEE 802.1 = 표준안 전체 IEEE 802.2 : LLC 계층 소개 IEEE 802.3~# : 다양한 환경의 MAC 계층을 소개 MAC계층 CSMA/CD(이더넷)(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공유 버스 방식 지원 둘 이상의 호스트에서 동시에 데이터 프레임을 전송을 시도하면 충돌 발생 -> 진행중인 프레임 전송 중지/해결 충돌 허용 : CSMA/CD - 충돌 감지 기능 필수, 재전송 기능으로 오류 복..

데이터 전송 방식 컴퓨터 네트워크 효과 자원 공유 - 물리적/논리적 자원을 공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사용함 병렬 처리에 의한 성능 향상 - 하나의 공유 시스템 버스에 다수의 메인 프로세서를 장착/IO 전용 프로세서 설치 중복 저장으로 신뢰성 향상 - 데이터 복구가 용이 But 시스템 성능 저하 전송 : 1:1로 직접 연결된 두 시스템 간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 교환 : 라우터에서 데이터를 어느 방향으로 전달할 지 선택하는 기능 전송 방식의 분류 지리적 분포에 따라 - LAN, MAN, WAN/BAN, PAN 데이터 전송 교환 기술에 따라 - 점대점, 브로드캐스팅 점대점 호스트가 중개 호스트와 1:1로 연결, WAN환경에서 주로 사용 교환 호스트가 송수신 호스트 중간에 위치 연결 개수가 증가하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