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분류 전체보기 (372)
cyphen156

C언어의 자료형 데이터 타입 일반 32 비트 인텔 IA-32 x86-64 문자 char 1 1 1 정수 short 2 2 2 int 4 4 4 long 4 4 8 long long 8 8 8 부동 소수 float 4 4 4 double 8 8 8 long double 16 8 8 표준 입출력 함수(Standard Input/Output) C언어에서 표준 입출력 함수를 사용하려면 미리 정의된 함수들이 있는 라이브러리를 불러와야 사용할 수 있다. #include 를 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Standard Input/Output library라는 헤더파일을 불러와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만약 stdio.h를 #include하지 않은채 빌드를 하려 한다면 비주얼 스튜디오는 에러메세지를 출력해준다. Stdio..

개인 문제풀이임으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컴파일러, 어셈블러, 링커, 로더의 차이점을 설명하라. 컴파일러 :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를 저급 언어인 어셈블리언어로 바꿔 목적 코드를 생성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어셈블러 : 목적 코드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기계어로 변환시켜주는 소프트웨어이다. 링커 : 함수와 함수 또는 여러 개의 목적 코드 연결시켜 실행파일을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이다. 로더 : 실행파일을 컴퓨터가 실행시켰을 때 주 메모리에 적재시켜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주는 프로그램이다. 소스 파일, 오브젝트 파일, 실행 파일의 차이점을 설명하라. 소스 파일 :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원시 코드 오브젝트 파일 : 원시 코드를 컴파일러가 기계어와 매칭시키기 위해 어셈블리어로 변환시킨 파..

프로그램이란? 일련의 명령문이 모인 것 = 특정한 언어를 사용해 컴퓨터에게 수행할 일을 지시하는 것 프로그래밍 언어란? 기계어(Object Code) : 컴퓨터가 직접 이해할 수 있는 0과 1로 이루어진 이진 코드 어셈블리어 : 기계어를 사람이 모두 외워서 사용하기 까다로워 개발된 언어 번역 소프트웨어인 어셈블러가 기계어로 번역 C언어 : 어셈블러조차 사람에게 친숙하지 않기 때문에 좀 더 사람에게 친숙하도록 개발된 언어, 컴파일러가 어셈블리어로 번역 자연어 : 사람이 일상에서 사용하는 언어 컴퓨터에게 가까울수록 저급언어, 사람에게 가까울수록 고급언어 Hello C! 데니스 리치 & 켄 톰슨이 B언어를 개선하여 만든 언어 특징 절차지항언어 : 명령을 처리하는 순서에 중점을 둔 언어 추상성 : 하드웨어의 종..

개인 문제풀이임으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세 가지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컴퓨팅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면 운영체제가 필요하다고 강조하였다. 운영체제가 이 원칙을 버리고 자원을 낭비하는 것이 적절한 때는 언제인가? 그러한 시스템이 실제로 낭비하는 것이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실시간 환경을 위해 운영체제를 작성할 때 프로그래머가 극복해야 하는 주요 어려움은 무엇인가? 운영체제의 다양한 정의를 염두에 두고 운영체제에 웹 브라우저 및 메일 프로그램과 같은 응용 프로그램이 포함되어야 하는지 생각해보라. 포함시킨다와 포함시키지 않는다는 주장 모두의 입장에서 논증하라. 커널 모드와 사용자 모드의 구별은 기본적인 형태의 보호(보안)로서 어떤 기능을 하는가? 다음 중 특권 명령이어야 하는 명령어는..

알고리즘 문제의 해답을 구하기 위한 절차를 순서대로 명확하게 나타낸 것, 주어진 문제 해결을 위한 단계적인 절차 9세기경 페르시아의 수학자 알-콰리즈미(Al-Khwarizmi)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 컴퓨터를 통한 문제의 해결은 한가지 방법만 있는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여러가지의 방법들이 존재한다. → 방법들 사이의 효율성 차이가 매우 크다. ⇒ 가장 최적화된 효율적인 방법론을 찾는것이 중요!! 알고리즘의 조건 컴퓨터를 통한 문제 해결은 절차를 표현하기 위해 명령어들을 사용한다. 하지만 모든 명령어의 집합이 알고리즘이 되는것은 아니다. → 알고리즘이라는 명령어가 되기 위해서는 조건이 필요하다. 입력 : 0개 이상의 입력을 갖는다. 출력 : 반드시 1개 이상의 출력을 갖는다. 명확성 : 각 명령어의 의미는..

개인 문제풀이임으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모집단과 표본의 차이를 설명하라. 모집단은 정보를 얻고자 하는 관심대상의 전체집합 표본은 모집단에서 선택된 일부인 부분집합이다. 기술통계학과 추론통계학을 비교 설명하라. 기술통계학은 수집된 자료를 효율적으로 정리, 요약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 수학적 정리에 관한 통계학이라면 추론통계학은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의미있는 결론을 이끌어내는 방법에 관한 조금더 추상적인 의미를 가진 통계학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다음을 명목자료, 서열자료, 등간자료, 비율자료로 구분하라. 몸무게, 주민등록번호, 섭씨온도, 상중하로 나눈 생활수준, 매출액, 학급석차, 성별, 지능지수 명목자료 : 주민등록번호, 성별 서열자료 : 상중하로 나눈 생활수준, 학급석차 등간자료 : 몸무게, 섭..

통계와 통계학 통계 '수집된 자료'또는 '정리된 자료'라는 정적(Static)인 관점에서의 통계 ==> 자료(Data) '수집된 자료의 처리'라는 동적(Dynamic)인 관점에서의 통계 ==> 정보(Information) 통계학 통계적 절차에 의해 수집된 자료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며, 효과적인 자료 분류기법 또는 분류된 자료의 성질이나 규칙성 등을 찾아내는 기술과 기법을 연구하는 학문 기술통계학과 추론통계학 모두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이다. 기술통계학 수집된 자료의 효율적인 정리와 요악방법을 연구하는 통계학 도수 : 자료의 개수를 세는 방법 정렬 : 자료의 배열을 바꾸는 것 범주화 : 자료를 집단으로 묶는 것 대표치 : 자료들을 연산..

개인 문제풀이임으로 오답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옳은 것은 파란색, 옳지 않은 것은 빨간색입니다. 다음 괄호 안을 채우시오. h는 heading의 약자입니다. p는 paragraph의 약자입니다. br은 break의 약자입니다. hr은 horizontal rule의 약어입니다. a는 anchor의 약자입니다. href는 hyper reference의 약어입니다. b는 bold의 약자입니다. i는 italic의 약자입니다. sub는 subscript의 약자입니다. sup는 superscript의 약자입니다. ins는 insert의 약자입니다. del은 delete의 약자입니다. ul은 unordered list의 약어입니다. ol은 ordered list의 약어입니다. li는 list item의 약어입니다...